유저들의 공간에 대한 상상을 돕는 오늘의집 XR팀 이야기
현실과 가상 정보의 결합
2024년 12월 31일Lila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의집 XR팀에서 PO로 일하고 있는 리라입니다. XR이라는 이름이 생소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을 텐데요. 마치 공상과학 영화에 나올 법한 이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며, XR팀이 실제로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제가 PO로서 이 팀에서 느끼는 즐거움은 무엇인지 하나씩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XR팀은 무엇을 하는 팀인가요?

XR은 eXtended Reality(확장 현실)의 약어로,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하는 기술을 통칭합니다. 익숙한 예로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MR(Mixed Reality, 혼합현실) 등이 XR 기술에 포함됩니다. XR팀은 이러한 기술을 활용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가령, 의류 쇼핑에서는 ‘이 옷이 내 몸에 맞을까?’ 같은 고민이 있다면, 인테리어에서는 ‘이 가구가 우리 집에 들어갈까?’, ‘우리 집 분위기와 어울릴까?’와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XR팀은 이런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실의 크기와 비율을 그대로 반영한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 유저가 상상에 의존하지 않고도 명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더 나아가, 유저가 상상만 했던 다양한 아이디어를 시도해 볼 수 있는 환경도 제공합니다.


유저 공간에 상품을 현실감 있게 보여주는 AR

1. 쇼핑 과정에 확신을 더하기 : AR Viewer의 시작

오늘의집 AR 기능은 유저가 가구를 구매하기 전, ‘이 가구가 우리 집에 잘 들어갈까?', '우리 집에 어울릴까?’라는 고민을 해결하는 데서 출발했습니다. “유저가 상품을 실제로 놓인 모습을 AR을 활용해 미리 확인할 수 있다면 구매 결정을 더 빠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아래, 유저가 공간에 가구를 시각화할 수 있는 AR Viewer를 개발했습니다. AR 기술은 대중적이지 않은 만큼 초기 설계와 구현 과정에서 시장사례가 적어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습니다. 유저가 쉽게 AR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음을 고려했습니다.

  • 기능의 명확성 : 유저가 AR의 가치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가?
  • 사용성 :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가?
  • 적합성 : AR을 사용했을 때 유용성이 높은 상품군에 집중했는가?

‘사용하기 쉽고 직관적인가’가 가장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가설 검증을 위해 사용자 UT를 적극적으로 진행했습니다. 유저가 흔히 경험하지 못한 UX이기 때문에 실제로 유저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직접 관찰하고, 유저가 사용 이후 느끼는 효용성이 무엇인지 깊은 인터뷰를 통해 UX를 개선하고 AR이 장기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재정립할 수 있었습니다.


2. AR 안에서 대체재 탐색하기 : 상품 바꾸기

AR Viewer를 통해 가구를 확인한 유저는 ‘이 상품이 정말 우리 집에 어울리겠다’라고 확신을 얻기도 했지만, 반대로 ‘우리 집에는 맞지 않겠다’라는 결론에 이르기도 했습니다. 즉, 유저에게 쇼핑의 실패를 줄여주기는 했지만, 실패할 뻔했던 유저는 또다시 탐색의 여정을 떠나야 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R 환경에서 바로 대체 상품을 탐색할 수 있는 ‘상품 바꾸기’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 다양한 옵션(사이즈, 색상)을 AR 환경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
  • 상품의 외형적인 조건으로 탐색 범위를 좁히는 필터 제공
  • 발견한 상품의 구매까지의 여정을 쉽게 하기

상품 바꾸기는 구매 가능성이 낮아진 유저에게 동작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명확하게 구매전환율을 Key Metric으로 설정하여 AB Test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상품 바꾸기를 사용한 유저가 사용하지 않은 유저보다 구매전환율이 26% 상승하였으며, 상품 바꾸기에서 실제 구매까지 이어진 대체 상품 발견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3. 언제 어디서든 AR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 공간 저장 모드

AR 기능은 카메라를 활성화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실시간으로는 좁은 영역 안에서 확인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저가 공간을 넓은 화각으로 촬영해 저장하고 언제든지 AR 환경에서 불러올 수 있는 ‘공간 저장 모드’를 개발했습니다.

촬영 과정을 간소화하면서도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아래 세 가지를 중점적으로 설계했습니다.

  • 화각 확보 : 공간을 충분히 담을 수 있는 방식 제공
  • 속도 : 촬영 후 처리 시간이 빠를 것
  • 직관성 : 유저가 촬영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

유저가 인테리어를 고민하고 있는 공간에 대해 시공간적 제약 없이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 저장 모드를 사용한 경우 AR 기능에 대한 재사용률이 35% 상승했습니다. 지금은 유저들이 더 직관적으로 공간 저장 과정을 이해하고 더 많은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꿈꾸던 인테리어를 미리 볼 수 있는 3D 방꾸미기

1. 다양한 인테리어 아이디어를 펼칠 수 있게 하기

많은 유저들이 현실적인 제약(공간의 크기, 비용 등) 때문에 인테리어 아이디어를 실행하지 못합니다. XR팀은 이러한 제약을 넘어 유저가 상상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3D 방꾸미기 기능을 개발했습니다.

3D 방꾸미기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최소한의 아이템을 배치해도 방꾸미기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을 적용했습니다:

  • 주요 가구 배치를 돕는 튜토리얼 및 미션 제공
  • 다른 유저의 인테리어를 참고할 수 있는 주간 베스트 프로젝트 선정
  • 사용자의 창의성을 높이는 가구 추가의 자유도 확대

이 과정에서는 정말 짧은 단위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웹 기반으로 빠르게 배포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기능제품)를 최대한 쪼개어 설정하고 각 가설별로 짧은 기간 동안 유의미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유저(완성유저)가 증가하는지를 관찰하여 약 한 달의 기간 동안 완성률이 28%나 상승하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


2. 더욱 디테일하게 설계할 수 있게 하기

VoC를 빠르게 수집하기 위해 고객센터 외 3D 방꾸미기에 대한 자유로운 의견을 받는 창구가 있는데요. 다양한 유저들의 목소리를 종합해 보았을 때 ‘유저가 상상하는 공간의 모습을 그대로 디테일하게 구현’하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실제 3D 방꾸미기를 운영하며 유저들의 공간을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유저들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유저들을 위해 ‘가볍게 무드를 확인하기 위함’이 아닌 ‘디테일하게 설계하고, 그 결과물을 보고 믿고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로 방향을 조정하여 그에 따른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 공간 크기와 구조를 자유롭게 편집 가능
  • 상품 단위로 보기 쉽게 변경하여 탐색 효율성 향상
  • 3D 모델링이 없는 경우에도 사이즈와 색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
  • 고품질 렌더링을 통해 현실감 있는 결과물 제공
▲ (좌측) 렌더링 전, (우측) 렌더링 후
▲ (좌측) 렌더링 전, (우측) 렌더링 후


이런 다양한 시도 끝에 유저들은 쇼핑탭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상품들을 3D 방꾸미기에서 발견하고 구매까지 진행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3D 방꾸미기가 공간 단위로 설계하는 유저들에게는 상품 탐색의 새로운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이후 유저들에게 적합한 상품을 더욱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XR팀에서 PO로서 느끼는 즐거움

XR팀에서 PO로 일하면서 느끼는 가장 큰 즐거움은 ‘새로운 도전’이 있다는 점입니다. 신기술을 활용해 기존에 없던 프로덕트를 만들어가는 과정은 어렵지만 그만큼 보람도 큽니다.

첫째는 신기술을 활용한 창의적인 도전인데요. 사람들에게 아직 친숙하지 않은 기술을 이용하여 참고할 만한 사례도 없는 프로덕트를 만들고 있다는 점이 제가 일을 하면서 느끼는 어려운 부분으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우리가 새로운 길을 찾고 있고 조금씩 그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어 지치지 않고 도전할 수 있게하는 것 같습니다.

둘째는 상대적으로 XR팀이 밟아가는 길에는 모범답안이라 할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프로덕트 설계 단계부터 디자인, 개발 파트와 매우 긴밀한 협업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프로덕트를 만들고 관리하는 PO로서 함께 만들어나가는 다른 팀원들과 초기부터 많은 의견을 나누고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어 미처 생각하지 못한 방식으로 풀어내거나, 놓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어 보다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셋째는 아직은 막연한 꿈이지만, 미래에는 오늘의집이 유저에게 제공하는 많은 부분을 XR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AR, VR 디바이스는 조금씩 출시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는 3D 데이터와 XR 경험이 보편화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XR팀이 연구하고 시도하는 노력들이 결과적으로 3D 및 XR 기술을 활용한 부분에 오늘의집이 선두주자에 있게끔하는 초석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시작 단계이지만, XR팀이 만들어가는 경험이 유저들에게 더 나은 삶을 선사할 것이라는 믿음으로 도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XR팀과 함께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물고,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분들을 기다립니다!

오늘의집에서 당신을 찾고 있습니다!
[오늘의집페이] Senior Product ManagerCore Platform PO LeadProduct Strategist (프로덕트 전략)Senior Product Owner (Global)Senior Product Owner (Growth)Senior Product Owner (Search & Recommendation)Senior Product Owner (Content Community)Senior Product Owner (커머스 플랫폼)Senior Product Owner (커머스 서비스)Senior Product Owner (Ads)Senior Product Owner (Interior & Life)Senior Product Owner (Logistics)Senior Product Owner (XR)Product Owner (커머스 서비스)Product Owner (Interior & Life)Product Owner (Ads)Product Specialist (Growth) (계약직)Product Specialist (Commerce) (계약직)
목록으로 돌아가기